얼마 전 한 친척 여동생이 집에서 하는 부업을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수입은 얼마 안 되지만 아이들 간식값이라도 벌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마침 <생활의 달인>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 부업을 하는 한 주부의 이야기가 나와서 유심히 보았다. 인형 옷 입히기, 초콜릿 포장하기 등 기계로 할 수 없는 단순 작업들을 숙련된 솜씨로 빠른 시간 내에 하는 모습은 탄성을 자아낼 정도였다. 그러나 그러한 '달인'이라도 하루 종일 일해서 버는 수입은 약 2만원 남짓밖에 되지 않는다. 하는 일의 단가가 너무 적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비눗방울 통에 스티커를 붙이는 작업은 하나 당 3원이다. 손이 많이 가서 그나마 단가가 높은 큐브 조립도 개당 90원을 넘어 가지 않는다.


비단 부업만이 아니다. 주위를 둘러 보면 노동의 가치가 너무나 저평가 되어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기업들은 수익이 발생하면 투자된 자본에게는 배분을 후하게 하지만, 직원들의 노동에 대해서는 매우 인색하다. 노동에 대해 지불하는 대가는 사실 수익 배분이 아니라 비용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한 줄이려고 하는 것이다. 비용을 줄여서 최대한의 이윤을 얻어 그 수익을 자본에게 돌려주는 것이 우리가 속해 있는 자본주의의 원리이다. 이말은 곧,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사람이 흘리는 땀(노동)보다 자본이 더 크게 대우 받는다. 사람보다 자본이 더 가치를 인정 받는 슬픈 세상인 것이다. 우리나라는 더욱 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서 임금격차가 매우 심하다고 한다. 자본과 힘을 가진 사람들이 힘이 없는 이들의 노동을 저평가하는 것은 노동착취에 다름아니다.


방송에 '부업의 달인'으로 나온 어머니는 열심히 해서 조그만 가게라도 내어 운영하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그러나 개인이 열심히 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많다. '자기 가게'를 갖고 열심히 일하시는 소상공인들 중에도 자본의 물량 공세에 고전하며 눈물을 흘리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결국은 구조의 문제이다. 사람의 노동을 저평가하는 구조가 바뀌어야 한다. 돈이 대접 받는 세상이 아니라, 사람이 대접 받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허드렛 일', '단순 노동'을 포함하여 사람의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나아가 비록 물질적인 이윤을 창출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주부들이 가정에서 하는 노동의 가치도 인정하고 그에 대해서 '기본 소득'을 지급해야 한다. 자본소득을 제한하고 세금을 통한 부의 분배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구조의 변화보다 먼저 바뀌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인간의 '돈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가진 자나 못 가진 자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 '욕심'이 변혁되지 않는다면 구조는 오히려 욕심의 '합법적인 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2015. 4. 29.

'바람소리 > 시사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만과 목수  (0) 2016.03.25
할로윈과 단검  (0) 2013.10.30
교회 개혁  (0) 201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