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17. 화.


어제 집에 멀리서 손님들이 오셨다. 일주일 전 미국 중부의 오클라호마(Oklahoma)를 떠나 이곳 서부, 태평양과 맞닿은 곳까지 자동차를 타고 달려 왔다. 그리고 여기 샌프란시스코를 반환점으로 해서 오늘 다시 중부로 향해 떠났다. 정호승 시인의 말을 빌리면, 여행을 완성하기 위해서 돌아간다. 출발했던 곳으로 다시 돌아가야하는 이유는, 그들이 '여행'을 떠났기 때문이다. 


   여행이 완성되려면 애초에 떠나왔던 곳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여행은 떠난 곳으로 되돌아감으로써 완성된다. 만일 떠나온 곳으로 돌아갈 수 없다면 그것은 여행이 아니다. 

   인생이라는 여행도 마찬가지다. 언젠가는 태어났던 곳으로 돌아가야만 인생이라는 여행은 완성된다. 그래서 우리에겐 처음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죽음이 존재한다. 처음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기 위한 긴 여정, 그것이 바로 인생이라는 여행이다.

   그래서 나는 인생이라는 여행의 시작과 끝은 같다고 생각한다. 처음 태어나 떠난 곳과 죽어서 돌아가는 곳이 같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곳이 어디일까. 나는 모른다. 가끔 우리 마음의 사랑이 있는 곳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정호승, "시작 메모," <창비문학블로그 창문>


긴 여행의 반환점을 돌아가는 그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나 또한 인생이라는 여행의 반환점에, 또는 그 언저리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당장 몇 초 뒤의 일도 알 수 없는 우리 인간이지만, 한국 남성들의 평균수명을 고려해볼 때 지금 내 나이가 딱 절반 쯤 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나의 여행은 '떠나는 길'이 아니라 '돌아가는 길'을 가는 것이라 말할 수 있으리라. 이제 나의 여행은 '떠나 온 곳', 곧 '아버지 품'으로 돌아가는 여행이다. 마라톤에 비유하면 이 여행의 결승점의 테이프는 '죽음'이다. 아직도 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반환점을 돌고 있다는 것이 좀 서글프기는 하지만, 여행 중 집으로 돌아갈 때의 느낌을 생각해보니 마음이 편안해지고 그리 나쁘지만은 않다. 


오전에 손님들을 배웅하고 아내와 함께 열심히 집정리를 한 뒤에, 점심부터는 혼자만의 시간을 즐겼다. 플라타너스의 푸른 잎들이 여름 바람에도 하나둘 떨어지는 창가에 앉아 《공지영의 지리산 행복학교》를 읽는 즐거움을 누렸다. 독자를 책장에 붙들에 매는 '꽁지 작가'의 글재주와 다큐멘터리 <인간 극장>의 주인공들이 되고도 남을 것 같은 지리산 사람들의 흥미로운 이야기에 할 일도 제쳐두고 책을 읽다가 늦은 밤에서야 아쉬움 속에서 마지막 장을 덮었다. 실패와 회의와 새로운 도전 속에서 인생의 반환점을 돌며 지리산 자락에 자리를 잡고 '출발지로 돌아가는 여행'을 하고 있는 '기인(人)'들의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이야기를 읽는데, '나는 앞으로 어떤 길로, 무엇을 하며 '그곳'으로 돌아가야 할까, 여행을 완성해야 할까?'라는 질문이 떠올랐다. 물론 질문만 떠오르고 답은 떠오르지 않았다. 학위를 따고 졸업을 하게 되면 그 답도 알게 될까? 졸업을 하고 어디서든 자리를 잡게 되면 무언가가 보일까? 그것도 알 수 없다. 그저 하나님께서 그때 그때 보여주시는 길을 따라, 내 마음의 사랑이 가는 대로 한 걸음씩 가다보면 결국 인생의 출발점이자 목적지인 그분, 사랑 그 자체이신 그분에게 이르게 될 것이라는 소망의 지팡이만 짚고 갈 뿐이다. 




'날적이 > 유학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픔이 위로에 젖다  (0) 2014.01.02
  (0) 2013.12.25
돕는 인생  (0) 201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