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쓰며 영어로 번역한 윤동주 시인의 시를 올려둔다. 그가 한글로 시를 쓰던 때는 일제강점기 말이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언어는 물론 정체성까지 말살하려고 하던 때에, 청년 윤동주는 '위험한 언어'로 '위험한 내용'의 시를 썼다. 그 언어의 아름다움과 내용의 깊이와 감동을 다른 나라 언어로 그대로 옮긴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최대한 흉내 내어보려고 하였다. 기존의 영어 번역들이 시인의 육필 원고가 아니라 편집자들에 의해 변형된 원고를 대본으로 하여서 아쉬운 점들이 많다. 그래서 품을 들여 다시 옮겼는데, 짧은 실력 탓에 어쩌면 더 못한 것이 되어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혹시 더 나은 표현이 있다면 제안해 주신다면 고마울 것이다. 


한글 시는 원래 시인이 썼던 언어의 음악적인 맛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육필 원고에 있는 어휘를 그대로 두었다. 다만 띄어쓰기만 현대 맞춤법에 따라 고쳤다. 영어 번역은 영어로는 좀 어색한 표현이 되더라도, 가능한 원래의 의미를 그대로 전하기 위해 역동적 등가 번역(Dynamic Equivalence Translation)방식이 아닌 문자적 번역 방법을 택했다.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서울: 민음사, 제2판, 2002)을 번역 대본으로 삼았고, Kyung-nyun Kim Richards와 Steffen F. Richards가 번역한 Sky, Wind, and Stars (Fremont, CA: Asian Humanities Press, 2003)을 참조하였다.



십자가



쫓아오든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였습니다.


첨탑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가요.


종소리도 들려오지 않는데

휫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왓든 사나이,

행복한 예수 · 그리스도에게

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목아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여나는 피를


어두어가는 하늘 밑에

조용이 흘리겠읍니다.


1941. 5. 31.




The Cross



The sunlight that followed me

Is now caught on the cross

On top of the church building.


The steeple is so high

Then, how can I go up there.


Though no sound comes from the bell

I walk around, blowing a whistle,


If I were permitted the cross

Like 

The man who suffered,

Happy Jesus · Christ,


I would hang my head

And quietly bleed

My blood that would blossom like a flower

Under the darkening sky.


May 31, 1941.


Poem by Yun Dong-ju (1917-1045)

Trans. by Hyeokil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