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8. 30. 목. (1)


호텔에서 빵과 커피로 간단하게 아침을 해결하고 토마스 머튼 센터가 있는 벨러마인 대학으로 차를 몰았다. 라디오를 켜니 낯익은 한국어가 들려온다. "오빤~ 강남 스타일~" 한국 대중가요가 미국의 지역 라디오 방송에서 나오는 것이 신기했다. 그리고 가수 싸이의 성취에 비교할 바는 못되지만 내가 쓴 학위논문 두 권이 조금 헤매다가 도착한 머튼 센터의 논문 서가에 꽃혀 있는 것도 신기하고 뿌듯했다. 하나는 한국어로, 다른 하나는 영어로 쓴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학위논문을 더 쓰기 위해 이곳에 자료를 찾으러 왔다. 한국 교수님들 몇 분의 이름들도 논문 서가에서 보이고, 한국어로 번역된 머튼의 책들도 유리장 안에 보관되어 있다. 


센터에는 머튼이 직접 쓴 글들, 머튼에 관한 글들 외에도 각종 자료들이 보관 되어 있다. 머튼이 수도원에서 한 강의들을 녹음한 테이프들과 CD들, 그가 그린 그림들과 찍은 사진들, 그가 사용하던 소수의 유품들과 그의 모습을 담아낸 청동상들, 그림들, 퀼트 등 다양한 자료들이 소장되어 있다. 미국 내에 머튼이 직접 쓴 자료들을 특별히 소장, 전시하고 있는 대학 도서관들이 몇 곳 있지만 그 중에서도 벨러마인 대학의 토마스 머튼 센터와 기록물 보관소는 가장 규모가 크고, 머튼 유산위원회(The Merton Legacy Trust)가 관여하는 공식 기록물 보관소이다. 머튼은 이렇게 그가 남긴 글과 유물들뿐만 아니라 그를 사랑하고 연구하는 많은 이들에 의해 지금도 세상 사람들과 대화하며 숨쉬고 있다. 


그동안 몇 번 이메일을 주고 받은 적이 있는 센터 책임자 폴 피어슨이 따뜻하게 맞아 준다. 그는 영국 출신인데 마른 몸매와는 달리 악수하는 손에는 힘이 있다. 폴은 수년 전 머튼 학회장을 역임한 유능한 인물이며, 지금 맡은 일이 증명하듯 아주 꼼꼼하고 성실한 머튼 학자이다. 작년에 시카고에서 있었던 국제 머튼 학회 때 직접 인사를 하지는 못했는데도 나를 기억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그곳에 모인 이백 여 명 중에 몇 안 되는 동양인이었다. 머튼 학회에 참석했을 때에 느낀 것이지만 대체로 머튼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머튼을 즐겨 있는 독자들은 친절하고 사람이 좋은 것 같다. 어떤 이들은 마음씨 좋은 평범한 할아버지 할머니 같은데 이름을 듣고 보면 아주 명성있는 학자들이다. 머튼의 영성을 공유해서 그런지 그들은 어떤 면에서 머튼을 닮았다. 



미리 준비해간 자료들 목록을 청구하니 금방 찾아다 준다. 빛바랜 종이 위에 그가 직접 타자를 친 글씨들과 손글씨들이 간직되어 있다. 마치 그를 직접 마주하고 있는 것 같은 친밀감이 들었고 책장을 넘기는 것도 매주 조심스러웠다. 아마 그는 한국에서 온 한 학생이 이렇게 이곳에 앉아 자신의 글을 신기해하며 읽게 되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수많은 자료들의 한 가운데에 와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지만, 내게 주어진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복사나 사진 촬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센터가 문을 닫는 오후 5시까지 열심히 자료를 읽고 메모를 해야 했다. 사실 나는 영어로 글을 읽는 것이 더디고, 머튼의 손글씨도 '해독'을 해야할 정도로 알아보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점심도 거르고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 있었다. 다행히 배고픔도 별로 느껴지지 않았고, 그의 글을 읽는 것도 재미가 있었다. 금방 하루가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