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쓰며 영어로 번역한 윤동주 시인의 시를 올려둔다. 그가 한글로 시를 쓰던 때는 일제강점기 말이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언어는 물론 정체성까지 말살하려고 하던 때에, 청년 윤동주는 '위험한 언어'로 '위험한 내용'의 시를 썼다. 그 언어의 아름다움과 내용의 깊이와 감동을 다른 나라 언어로 그대로 옮긴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최대한 흉내 내어보려고 하였다. 기존의 영어 번역들이 시인의 육필 원고가 아니라 편집자들에 의해 변형된 원고를 대본으로 하여서 아쉬운 점들이 많다. 그래서 품을 들여 다시 옮겼는데, 짧은 실력 탓에 어쩌면 더 못한 것이 되어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혹시 더 나은 표현이 있다면 제안해 주신다면 고마울 것이다. 


한글 시는 원래 시인이 썼던 언어의 음악적인 맛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육필 원고에 있는 어휘를 그대로 두었다. 다만 띄어쓰기만 현대 맞춤법에 따라 고쳤다. 영어 번역은 영어로는 좀 어색한 표현이 되더라도, 가능한 원래의 의미를 그대로 전하기 위해 역동적 등가 번역(Dynamic Equivalence Translation)방식이 아닌 문자적 번역 방법을 택했다.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서울: 민음사, 제2판, 2002)을 번역 대본으로 삼았고, Kyung-nyun Kim Richards와 Steffen F. Richards가 번역한 Sky, Wind, and Stars (Fremont, CA: Asian Humanities Press, 2003)을 참조하였다.


위로



거미란 놈이 흉한 심보로 병원 뒷뜰 난간과 꽃밭 사이 사람 발이 잘 닿지 않는 곳에 그믈을 처놓았다. 옥외 요양을 받는 젊은 사나이가 누어서 치여다 보기 바르게—


나비가 한 마리 꽃밭에 날어들다 그믈에 걸리엿다. 노—란 날개를 파득거려도 파득거려도 나비는 작고 감기우기만 한다. 거미는 쏜살가치 가더니 끝없는 끝없는 실을 뽑아 나비의 온몸을 감아버린다. 사나이는 긴 한숨을 쉬엿다.


나(歲)보담 무수한 고생 끝에 때를 잃고 병을 얻은 이 사나이를 위로할 말이――거미줄을 헝크러 버리는 박에 위로의 말이 없엇다.


1940. 12. 3.



Comfort



A guy named spider had spun a web with an ugly mind between the banister in the backyard of the hospital and the flower garden, where people’s footsteps don’t often reach, so that the young man convalescing in the open air could easily look up at it from where he lay—


A butterfly flying into the flower garden was caught in the web. Fluttering, fluttering of the yellow wings. Yet, the butterfly only gets more entangled. The spider moves in like an arrow, spines its endless, endless thread, and wraps up the whole body of the butterfly. The man breathed a long sigh.


The only word of comfort I could offer the man, who had lost his chances and had fallen ill after having numerous hardships more than his age—there was not any word of comfort except to mess up the cobweb.


December 3, 1940.


Poem. Yun Dong-ju (1917-1045)

Trans. Hyeokil Kwon